ETF 리포트
ETF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알려드립니다.
[PLUS 고배당주 ETF] ‘한국판 SCHD’ PLUS 고배당주 정기 리밸런싱…어떤 종목 담겼나
2025.06.20‘한국판 SCHD’ PLUS 고배당주
정기 리밸런싱…어떤 종목 담겼나
-국내주식형 최대
규모(’25.6.17 기준) ‘월배당 ETF’의 선택은?
국내주식에 투자하는 최대 규모(2025년 6월 17일
기준) 월배당 ETF(상장지수펀드)인 "PLUS고배당주"가
정기 리밸런싱(종목 변경)을 완료했습니다. 이번에는 3개의 신규 종목이 편입,
3개의 기존 종목이 편출되어 포트폴리오는 기존 종목 수와 동일한 30개 종목을 유지했는데요. "한국판 SCHD"로 불리며 투자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PLUS고배당주"에 신규 편입된 종목에는 어떤 기업들이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신규 편입된 3개 기업들의 배당 관련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PLUS고배당주(161510) 구성종목(비중 상위 15개, 2025년 6월 18일
기준)
No. |
종목코드 |
종목명 |
비중 |
1 |
000270 |
기아 |
5.47% |
2 |
005380 |
현대차 |
5.30% |
3 |
024110 |
기업은행 |
5.09% |
4 |
017670 |
SK텔레콤 |
4.94% |
5 |
017800 |
현대엘리베이터 |
4.91% |
6 |
005830 |
DB손해보험 |
4.83% |
7 |
316140 |
우리금융지주 |
4.65% |
8 |
029780 |
삼성카드 |
4.34% |
9 |
086790 |
하나금융지주 |
4.24% |
10 |
000810 |
삼성화재 |
4.09% |
11 |
030000 |
제일기획 |
4.04% |
12 |
016360 |
삼성증권 |
3.77% |
13 |
078930 |
GS |
3.65% |
14 |
005940 |
NH투자증권 |
3.50% |
15 |
001120 |
LX인터내셔널 |
3.45% |
1. 현대차
국내에서 여섯 번째로 시가총액(약 42조원, 2025년
6월 17일 기준)이
큰 기업이자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자동차회사인 현대차는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펼치는 회사 중 한 곳입니다.
지난해 8월 현대차가 발표한 밸류업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최소 연간 주당배당금(DPS) 10,000원(보통주) 도입
-자사주 매입 목적 명시
-2025~2027년 총주주환원율(TSR, Total Shareholder Return) 개념
도입
-분기 배당 2,500원 추진
-3년간 총 4조원 규모 자사주 매입(우선주
디스카운트 고려)
-3년 평균 자기자본이익률(ROE) 11~12% 지향
-중장기 영업이익률(OPM) 10% 이상 달성 추진(2024년 8~9%, 2027년 9~10%,
2030년 10%)
총주주환원율(TSR)이란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Net Income) 중 배당금과 자사주 매입액을 합한 금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현대차는 2023년 4월에도 아래와 같은 내용의 중장기 주주환원정책을 발표한 바 있는데요.
-배당성향 25%(연간 연결 지배주주 순이익 기준) 이상 설정
-2023년 2분기부터 분기 배당(매분기) 실시(기존 중간, 기말
연 2회 배당)
-기보유 자사주, 향후 3년간
발행주식수의 1%씩 소각(적극적 자사주 소각 정책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 및 주주 신뢰 강화, 2023년 기준, 기보유
자사주 4.1%(보통주 기준))
두 차례 발표된 내용에서 현대차의 배당 관련 정책을 간단히
정리하면 2025년부터 3년간 총주주환원율(TSR) 목표를 35%로 맞추겠다는 것으로, 기존에 제시한 배당성향(배당금/순이익) 25%에 자사주 매입 또는 소각을 10%포인트 가량 추가 확보하겠다는
의미로 분석됩니다. 즉 순이익의 35%가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 또는 소각 등의 주주환원에 사용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대차
최근 4개년 배당내역
*출처 - 현대차 홈페이지
2. 현대엘리베이터
현대엘리베이터는 국내 엘리베이터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으로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등 승강기 제품과 부품을 생산, 판매, 설치 및 유지보수하는 기업입니다. 주주환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이행하고
있는 회사이기도 한데요. 지난 2023년 11월 발표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기업지배구조 정책’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당기순이익의 50% 이상 현금배당 또는 자기주식 취득·소각(중장기 배당정책)
-일회성 이익의 일정 비율 현금배당 또는 자기주식 취득·소각
-최저배당금 주당 500원 설정
특히 최근 3년치
배당현황을 보면, 주당 배당금이 2022년 500원에서 2023년 4,000원으로, 2024년 5,500원으로 큰 폭으로 늘어났습니다. 배당성향 역시 2022년 25.4%,
2023년 45.3%, 2024년 108.4%로
높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2022년 1.7%였던
시가배당률도 8.8%(2023년), 9.3%(2024년)로 점차 향상되는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대엘리베이터가 높은 배당 규모를 유지할 수 밖에 없는
또 다른 이유는 지배구조와도 연관이 있습니다. 현대엘리베이터 지분 약 10%를 보유하고 있는 스위스의 엘리베이터 기업 쉰들러는 현정은 회장과 오랜 기간 경영권 분쟁을 해왔는데요.
현대엘리베이터의 모회사이자 현 회장이 최대주주로 있는 현대홀딩스는
쉰들러로부터 현대엘리베이터의 경영권을 방어하기 위해 사모펀드 운용사 H&Q로부터 3,188억원의 자금을 조달한 바 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이 자금의
상환과 이자 지급을 위해서는 현대엘리베이터가 상당 기간 현재의 고배당 정책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즉 현대엘리베이터 지분 20% 가량을 들고 있는 현대홀딩스가 H&Q로부터 조달한 자금 상환과 이자 지급을 위해 현대엘리베이터로부터 많은 배당금을 받아야한다는 의미입니다.
현대엘리베이터
최근 5개년 배당현황
*출처 ? 현대엘리베이터 홈페이지
3. LX인터내셔널
LX인터내셔널의
사업 부문은 자원 사업(석탄, 팜, 니켈), 물류 사업, 트레이딩(석탄, 산업재)/신성장
사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회사 전체 영업이익 내 비중은 자원 사업 내 석탄 채굴과
물류 사업이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석탄 가격과 컨테이너선 운임의 변동에 영업이익이 어느 정도의 영향을
받습니다.
LX인터내셔널은
지난해 주당 배당금 2,000원을 지급했습니다. 시가배당률
기준 7.39%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최근 3개년 배당성향은 2022년 20.94%,
2023년 36.86%, 2024년 40.94%로
점점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LX인터내셔널은
지난해 12월 자회사인 LX판토스 지분 19.9%를 미래에셋PE로부터 매입해 지분율이 75.9%로 올랐습니다. 업계에서는 LX판토스로부터
받는 배당금과 함께 지배주주순이익 인식 비율이 높아졌으므로 배당여력이 높아졌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LX인터내셔널 최근
3개년 배당현황
|
2022년 |
2023년 |
2024년 |
주당배당금(원) |
3,000 |
1,200 |
2,000 |
시가배당률(%) |
8.84 |
4.08 |
7.39 |
배당성향(%) |
20.94 |
36.86 |
40.94 |
*출처 ? 네이버 증권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월배당 ETF ‘PLUS고배당주’
‘PLUS고배당주’ ETF는 2012년 8월 29일 상장해 약 12년이 넘는 기간 동안 운용되어 온 ‘스테디셀러’ ETF입니다. 2025년
6월 17일 장마감 기준 순자산총액은 9,982억원을 기록하고 있어 조만간 1조월 돌파를 앞두고 있는데요. 국내에 상장된 약 900여개의
ETF 중 순자산총액 1조원이 넘는 국내주식형 ETF(레버리지·인버스
제외)는 열 손가락 안에 꼽힙니다.
‘PLUS고배당주’의 순자산총액이 1조원 돌파를 앞두고 있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에서도 배당 ETF가 많은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내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연금 선진시장인 미국에서는 60세
이상 투자자의 57%가 ‘배당 ETF’를 주요 투자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찰스슈왑의 조사 결과가 있을 만큼 배당 ETF가 연금 계좌의 핵심 투자 대상인데요. 미국 뿐 아니라 한국 시장에서도
이제는 ‘배당 ETF가 투자의 코어(핵심)가 되는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것 아닐까요?
PLUS고배당주 ETF (종목코드 : 161510) (위험등급 : 2등급, 높은위험) | 합성총보수 : 0.2800% 증권거래비용 : 0.0339% (2024년 기준) 이 금융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투자 전
설명 청취 및 (간이)투자설명서·약관 필독 | 자산가격 변동, 환율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른 원금손실(0~100%) 발생가능 및 투자자
귀속 | 증권거래비용 등 추가비용 발생 가능 | 투자성과
부진 및 이익금 초과 분배시 원금감소 가능 한화자산운용(주)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025-325 호 (2025.06.18 ~
2026.06.17)
검색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