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리포트
ETF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알려드립니다.
[11/18 신규상장] PLUS 차이나항셍테크위클리타겟커버드콜 ETF
2025.11.17‘중국판 나스닥’ 항셍테크, ‘월배당’ 커버드콜 ETF로 투자하자!
“중국 테크주의 장기적인 성장성에 투자하면서, ‘연 15%’의 분배 한도로 안정성을 추구한다”
중국의 테크주를 장기적으로 유망하게 보지만, 높은 변동성 때문에 고민하는 투자자라면? PLUS 차이나항셍테크위클리타겟커버드콜 ETF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상품은 중국의 대표 혁신 성장주 30개 종목을 모은 ‘중국판 나스닥’
항셍테크(HS TECH) 지수에 투자합니다. PLUS 차이나항셍테크위클리타겟커버드콜 ETF는 이 지수의 상승에 약 80% 참여하면서도, 20% 비중의 콜옵션 매도를 통해 연 15%(월 1.25%)의 분배 한도를 가집니다.
특히
S&P500, 나스닥 등 미국의 대표 시장 지수 대비 상대적으로 큰 변동성이 옵션의 내재가치를 높여, 콜옵션을 매도하는 커버드콜 전략 사용 시 높은
프리미엄을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투자포인트1. 중국 대표 혁신 성장주를 모은 ‘중국판 나스닥’ 항셍테크 투자

AI 기술 주도권을 두고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중국의 오픈소스 AI 언어모델인 딥시크(Deepseek)와 알리바바의 큐웬(Qwen) 출시 이후, 우리는
중국과 미국의 AI 기술 격차는 크게 축소되고 있음을 실감할 수 있었죠.

중국의 빅테크 기업들은
AI인프라 구축에 막대한 투자를 진행하며 CapEx(설비투자) 사이클 확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올해 바이트댄스,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등 중국 빅테크 기업들의 합산 CapEx는 약 800억 달러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내년과 내후년에도 이 수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시장의 매력은 1) 정부의 강력한 정책 지원, 2) 저평가된 밸류에이션, 3) 늘어나는 자금 유입 등 3가지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강력한 반독점 규제로 빅테크를 압박했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경기 부양과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규제 스탠스를 완화하고 지원을 확대하고 있죠

최근 시장 상승에도 불구하고 항셍테크 지수의 밸류에이션도
2020년에 비해 낮습니다. 12개월 선행 PER은 19.9배, 12개월
선행 PBR은 2.8배(출처 : 블룸버그, ’25.10.31
기준) 수준입니다.

ROE(자기자본이익률)와 EPS(주당순이익)도 우상향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5년 강구퉁(본토의 홍콩 투자) 순매수와
후선강퉁(외국인의 본토 투자) 거래대금 역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홍콩향
본토 자금 유입은 ‘정책 효과
및 국가 확신 강화’, 외국인의 본토 투자는 ‘비관론 해소와 경쟁력 회복’을 상징합니다.
투자포인트2. 분배 한도 연 15% + 항셍테크 상승 약 80% 참여
추구


PLUS 차이나항셍테크위클리타겟커버드콜 ETF는 항셍테크 지수를 구성하는
30개 기업을 기초자산으로 하고 있으며, ATM 옵션을 매도해 얻은 프리미엄을 재원으로 연 15%(월 1.25%) 한도의
분배금이 기대되는 ‘월배당(지급기준일 : 월 말)’ 상품입니다.

ETF의 콜옵션 매도 비중은 약 20% 수준으로, 항생테크지수의
상승에 약 80% 참여가 가능하죠. 항생테크 지수의 옵션은 기존 월간(먼슬리) 단위로 밖에 존재하지 않았지만, ‘24년 9월 주간(위클리) 단위의 옵션이 생기면서 상대적으로 낮은 옵션 비중으로도 상승 참여율을 높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옵션은 만기일이 짧을수록(가까워질수록) 시간가치가 감소해 행사 가능성이 줄어들고 매도자에게
유리해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먼슬리(월간) 대비 만기가 짧은 위클리(주간) 콜옵션이
낮은 매도 비중으로도 지수 상승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이유죠.
투자포인트3. 높은 콜옵션 프리미엄으로 커버드콜 전략 효용 극대화

위 그림에서 확인이 가능한 것처럼 항셍테크의 옵션 프리미엄 일드는 미국의 나스닥100이나 S&P500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높은 항셍테크의 상/하방 변동성이 옵션 프리미엄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죠. 이는 커버드콜 전략의 효용이 극대화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또 하나의 독특한 점은 이 ETF는 옵션의 행사가격과 기초자산의 현재 시장가격이 동일한 ATM 콜옵션
매도임에도 불구하고, ‘틱사이즈 효과’로 인해 주간 평균
0.78%(기간 : 2024.09.27~2025.07.25, 자료 : Hang Seng Index) 수준의 OTM(Out of the
money) 콜옵션 매도 효과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즉,
지수 상승분의 일정 수준까지는 100% 참여를 추구하는 효과를 냈다는 건데요.
틱 사이즈는 콜옵션 행사가가 형성되는 최소 단위를 말합니다. 항셍테크 지수 옵션 거래 시장은 틱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옵션의 행사가격과 기초자산의 현재 시장가격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생겨 옵션 행사가격을 소폭 높여 콜옵션을 매도하게 됩니다. 바로 이것이 지수 변동분의
일정 수준까지는 상승 참여를 추구하는 효과를 내는 것입니다.
※항셍테크 지수 변동에 따른 커버드콜 전략을 설명하기
위해 작성한 특정 기간에 대한 예시로, 과거의 실적이 미래의 수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PLUS 차이나항셍테크위클리타겟커버드콜 ETF를 한 마디로 요약한다면, ‘중국판 나스닥’ 항셍테크 지수의 혁신 기업에 투자하면서 주간 콜옵션 매도 프리미엄을 재원으로 매월 안정적인 현금 흐름 창출을
기대해볼 수 있는 상품입니다. 중국 테크주의 장기적인 성장성에 투자하면서도, 월 15%의 분배 한도로 안정성을 추구하고 싶다면, PLUS 차이나항셍테크위클리타겟커버드콜 ETF에
투자하세요!

[ETF
구성종목]
|
No. |
종목명 |
비중 |
|
1 |
Alibaba Group Holding Ltd |
9.6% |
|
2 |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ternational Corp |
8.9% |
|
3 |
Tencent Holdings Ltd |
8.1% |
|
4 |
NetEase Inc |
7.6% |
|
5 |
Meituan |
7.5% |
|
6 |
BYD Co Ltd |
7.1% |
|
7 |
Xiaomi Corp |
6.1% |
|
8 |
JD.com Inc |
5.5% |
|
9 |
Kuaishou Technology |
5.5% |
|
10 |
Baidu Inc |
3.8% |
*2025년 10월 31일 기준/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ETF
개요]
|
구분 |
내용 |
|
상품명칭 |
한화
PLUS 차이나항셍테크위클리타겟커버드콜 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 |
|
집합투자업자 |
한화자산운용(주) |
|
종목코드 |
A0128D0 |
|
투자 분류 |
주식 - 파생형 |
|
비교지수 |
HSTECH 15% Target
Premium Weekly Covered Call Index |
|
투자위험등급 |
2등급(높은 위험) |
|
리밸런싱 |
주식 : 연 4회(매년 3월, 6월, 9월, 12월) & 콜옵션 : 매주 |
|
총 보수 |
연 0.39% (운용보수: 0.349%) |
|
상장일 |
2025년 11월 18일 |
· 한화 PLUS 차이나항셍테크위클리타겟커버드콜(주식-파생형) (종목코드 : A0128D0)
· 투자위험등급 : 2등급 (높은 위험)
· 합성총보수(연) : 0.39% (집합투자 0.349%, 판매 0.001%, 수탁 0.025%, 사무관리 0.015%)
[투자 유의사항]
※투자자는
집합투자증권에 대하여 금융상품판매업자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투자 전 (간이)투자설명서 및 집합투자규약을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이 금융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집합투자증권은
자산가격 변동, 환율 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ETF거래 총 보수 이외에 ETF거래수수료, 증권거래비용 및 기초지수사용료 등의 기타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 가능 합니다.
※ETF의 추적오차와 괴리율이 커질 경우 투자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ETF의 운용전략이
구체화된 자산구성내역(PDF)를 한국거래소 또는 당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상기의
분배 한도는 목표치일 뿐 실제 분배율은 목표치와 다를 수 있으며 시장상황 및 집합투자업자의 판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익금 분배방식은 투자결과에 따라 월 지급액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익금을
초과하여 분배하는 경우 투자원금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분배율은 분배기준일의 ETF 순자산가치(NAV) 대비 분배금을 의미하므로 투자자의 투자원금과는
무관합니다. ※한화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 2025-602호 (2025.11.18~2026.11.17)
검색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