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리포트
ETF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알려드립니다.
[PLUS 고배당주 ETF] 2025년 세제 개편안, PLUS 고배당주 ETF를 주목해야 할 이유
2025.08.042025년 세제 개편안,
PLUS 고배당주 ETF를 주목해야
할 이유
지난 7월 31일, 정부가 투자자들의 관심을 끄는 세제개편안을 발표했습니다. 여러 내용 중에서도 특히 주목할 부분은 바로 ‘고배당
기업 배당소득 분리과세’ 도입 소식입니다.
이름이 조금 어렵게 들릴 수 있지만, 이는 국내 자본시장 활성화를 목표로, 고배당 기업 주주들의 세금 부담을 덜어주고자 하는 정책적 의지가 담겨있다고 할 수 있죠. 오늘은 투자자 입장에서 꼭 알아둬야 할 변화, 핵심만 짚어 알아보겠습니다.
무엇이, 어떻게 달라지나?
먼저 배당소득세에 대한 이야기부터 해보겠습니다. 기존에는 주식 배당으로 받은 소득이 연간 2,000만 원을 넘으면, 다른 소득과 합산해 종합소득세율(최대 45%)을 적용했습니다. 배당을 많이 받을수록 세금 부담이 커지는
구조였죠.
하지만 이제 정해진 요건을 충족하는 ‘고배당 상장기업’으로 부터 받은 배당소득에 대해서는 분리과세를 적용합니다. 즉, 다른 소득과 합산하지 않고 아래와 같이 별도의 세율로 분리과세 혜택을 적용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자료 : 기획재정부, 한화자산운용
그렇다면 어떤 기업이 ‘고배당 상장기업’에 해당할까요? 정부가 제시한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료 : 기획재정부, 한화자산운용
이번 세제 개편을 통해 위 요건을 충족하는 고배당 기업의 투자 매력을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세제개편 수혜, PLUS 고배당주 ETF는?
이러한 세제
혜택은 고배당 기업에 대한 투자 매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배당 매력이 부각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이는 해당 기업들의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죠.
여기서 우리가
주목할 점은, ‘PLUS 고배당주 ETF’가 이러한 정책적
변화의 흐름 속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해 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PLUS 고배당주 ETF’는 국내 주요 고배당 기업 30종목을 편입하고 있는 국내 대표
배당 ETF입니다. 그리고 주목할 만한 점은, 이 ETF를 구성하는 30개 종목 중 무려 22개가 이번 세법개정안에서 제시된 ‘고배당 상장기업’ 요건에 해당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PLUS 고배당주 구성종목] : 세제 혜택 적용 기대 기업(22개):
No. |
종목명 |
ETF 비중 |
고배당 상장기업 |
||
고배당기업 유무 |
조건① 충족 |
조건② 충족 |
|||
1 |
기업은행 |
5.3% |
O |
X |
O |
2 |
기아 |
5.2% |
O |
X |
O |
3 |
현대차 |
5.1% |
O |
X |
O |
4 |
우리금융지주 |
5.1% |
O |
X |
O |
5 |
DB손해보험 |
4.8% |
X |
X |
X |
6 |
SK텔레콤 |
4.6% |
O |
O |
X |
7 |
현대엘리베이터 |
4.3% |
O |
O |
O |
8 |
하나금융지주 |
4.2% |
O |
X |
O |
9 |
삼성카드 |
4.0% |
O |
O |
O |
10 |
BNK금융지주 |
3.8% |
O |
X |
O |
11 |
삼성화재 |
3.7% |
O |
X |
O |
12 |
삼성증권 |
3.7% |
O |
X |
O |
13 |
제일기획 |
3.6% |
O |
O |
O |
14 |
NH투자증권 |
3.5% |
O |
O |
O |
15 |
GS |
3.5% |
O |
O |
O |
16 |
LX인터내셔널 |
3.2% |
O |
O |
X |
17 |
KT |
3.0% |
O |
O |
X |
18 |
신한지주 |
3.0% |
X |
X |
X |
19 |
KT&G |
3.0% |
O |
O |
O |
20 |
JB금융지주 |
2.6% |
O |
X |
O |
21 |
KB금융 |
2.6% |
X |
X |
X |
22 |
LG유플러스 |
2.5% |
O |
O |
O |
23 |
한국앤컴퍼니 |
2.4% |
O |
X |
O |
24 |
한국가스공사 |
2.4% |
X |
X |
X |
25 |
iM금융지주 |
2.4% |
X |
X |
X |
26 |
세아베스틸지주 |
1.8% |
O |
O |
X |
27 |
코리안리 |
1.8% |
X |
X |
X |
28 |
효성 |
1.6% |
X |
X |
X |
29 |
대신증권 |
1.5% |
O |
O |
X |
30 |
롯데지주 |
1.5% |
X |
X |
X |
※ 자료
: 한화자산운용, 에프앤가이드 / 기준일 : 2025.07.31
※ ETF 비중 : 광고시점 및 미래에는 이와 다를 수 있음 / 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동 가능
※ 고배당기업 유무 : 현재 공개된 요건을 바탕으로 한 예상치로, 실제 법 시행 시 개별 기업의 배당 정책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조건?,? 중
하나 이상 해당 기업)
※
조건 ① : 전년대비 현금 배당액 감소X + 배당성향 40% 이상
※ 조건 ② : 전년대비 현금 배당액 감소X + 배당성향
25%이상 & 직전 3년 평균 대비 5% 이상 배당증가
이는 ‘PLUS 고배당주 ETF’ 투자를 통해, 이번 세제개편안의 수혜가 기대되는 유망
기업들에 손쉽게 분산 투자하는 효과 볼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물론, ETF는 펀드이므로 ETF에서 직접 지급하는
분배금 자체는 이번 분리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하지만
PLUS 고배당주 ETF는 세제 혜택이 기대되는 고배당 기업들을 대거 편입하고 있어 정책에 따른 간접적인 수혜
기대해 볼 수 있죠.
안정적 분배금과 자산가치 상승 기대를 동시에!
정부의 이번
세제개편안은 기업들의 배당 확대를 유도하고 자본시장을 활성화하려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적 환경 속에서 고배당 기업들의 가치가 재평가 받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는데요.
‘PLUS 고배당주 ETF’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분배금 수익과 더불어 정책 수혜에
따른 자산가치 상승까지 기대해 볼 수 있는 매력적인 투자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변화의 기회 속에서 현명한 투자를 고민하고 있다면, ‘PLUS 고배당주 ETF’를 눈여겨보는 것은 어떨까요?
[ETF 개요]
구분 |
내용 |
상품명칭 |
한화 PLUS 고배당주 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 |
집합투자업자 |
한화자산운용(주) |
종목코드 |
161510 |
투자 분류 |
증권(주식) |
비교지수 |
FnGuide 고배당주지수 |
투자위험등급 |
2등급(높은 위험) |
리밸런싱 |
연 2회(6월, 12월) |
총 보수 |
연 0.23(운용보수: 0.19) |
상장일 |
2012년08월 29일 |
· 한화 PLUS 고배당주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 (종목코드 : 161510)
· 투자위험등급 : 2등급 (높은 위험)
· 합성총보수(연)
: 0.2838% (집합투자업자 보수 0.19%, 지정참가회사보수 0.01%, 신탁업자보수 0.02%,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 0.01%)
[ 투자 유의사항 ]
· 투자자는 집합투자증권에 대하여 금융상품판매업자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투자전 (간이)투자설명서
및 집합투자규약을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이 금융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자산가격 변동, 환율 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증권거래비용, 기타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일정금액 지급방식은 투자결과가 부진한 경우 월지급액이 투자원금에서 지급되어 투자원금이 감소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월지급이 조기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이익금 분배방식은 투자결과에 따라 월지급액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익금을 초과하여 분배하는 경우 투자원금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본 자료의 세제개편안은 입법 과정에서 그 내용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세제개편안의 ‘고배당 상장기업’의 정의는 본 집합투자기구에서 투자하는 고배당주의 정의와 다를 수 있습니다. 투자하시기 전 투자설명서의 투자전략과 고배당주 지수의 설명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한화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 2025-396호 (2025.08.01~2026.07.31)
검색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