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리포트
ETF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알려드립니다.
[8/19 신규 상장] PLUS 나스닥100 미국채혼합50 ETF
2025.08.13퇴직연금 계좌 내 안전자산 비중 30%를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방법
-‘나스닥100
최대 비중’ 채권혼합형 ETF의
등장
*기준일 : 2025년 8월 19일
PLUS ETF는 지난 6월 ‘퇴직연금
계좌 내 안전자산 비중 30%를 가장 현명하게 투자하는 방법’으로
S&P500에 50%의 비중으로 투자하는 채권혼합형 ETF인 ‘PLUS 미국S&P500미국채혼합50액티브’를 상장했습니다. 위험자산에
70%까지만 투자할 수 있는 퇴직연금 계좌에서도 보다 많은 비중을
S&P500에 실으려는 투자자들을 위해, 비위험자산 30% 비중에 할당할 수 있으면서도 주식 비중이 50%에 달하는 채권혼합형 ETF라는 투자 옵션을 제시한 것입니다.
이번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을 위해
‘나스닥100’에 50%,
초단기 미국채에 50%씩 자동으로 분산투자할 수 있는 ‘PLUS 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 ETF를
상장합니다. IRP(개인형 퇴직연금) 또는 DC형(확정기여형 퇴직연금) 계좌에서
‘나스닥100’에 더 많이 투자하고 싶은 투자자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퇴직연금(DC·IRP)의 아쉬운 성과…기대 수익률 높일 투자 대안은?
사진1.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 및 개인별 수익률 분포
지난해 말 기준 퇴직연금 적립금은 431.7조원으로, 3년 연속 13%
수준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급격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 가입자의 수익률 중간값은
3.2%로, 대부분의 가입자가 2%~4% 정도의 낮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죠.
‘퇴직연금 감독규정’에 따라 퇴직연금 적립금의 30%는 원리금보장상품, 채권형 상품 등 ‘비위험자산(안전자산)’에
의무적으로 투자해야 합니다. 이는 자산의 안정성 확보에 기여하지만, 보다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싶은 투자자에게는 장기 수익률을 제약하는 구조적 한계로 느껴질 수 있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주식을 일정 비중으로 담고 있는 ‘채권혼합형
ETF’는 안전자산 의무 규정을 준수하면서 기대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투자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사진 2. 퇴직연금
나스닥100 투자 포트폴리오 및 실제 나스닥 100 투자
비중
‘PLUS 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
ETF는 채권혼합형 ETF 중 가장 높은 50%의
비중으로 나스닥100에 투자합니다. 만약 위험자산 비중(70%)을 모두 나스닥100에 투자하고 나머지 비위험자산 비중(30%)으로 ‘PLUS 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에 투자한다면 실질적으로 나스닥100에 85%(70%+15%)의 비중으로 투자하는 셈이 됩니다.
퇴직연금 포트폴리오의 장기 성장 동력 확보 전략
사진3. ETF 기초지수
및 나스닥100 성과 비교
나스닥100은
역사적으로 검증된 장기 우상향 성과와 강력한 회복탄력성을 보유한 글로벌 대표 성장 지수입니다. AI, 클라우드, 바이오 등 미래 산업을 주도하는 글로벌 혁신 기업 100개 기업에
분산투자할 수 있죠.

사진4. 나스닥100 지수 연간 수익률
2025년 7월말 기준, 나스닥100의 최근 10년 동안의 연평균 수익률을 18.95% 수준이며, 최근 3년
연평균 수익률은 26.44%에 달합니다. 이처럼 나스닥100과 같이 검증된 지수는 자칫 원리금 보장형 상품 위주로 투자해 아쉬운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는 퇴직연금 자산에
장기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해 줄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사진5. 최근
1년 미국채 10년물 vs
초단기 미국채 가격 추이
성장률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변동성도 크다는 말이 될
수 있겠죠. ‘PLUS 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 ETF는 미국 단기채를 50% 비중으로 편입해 포트폴리오 안정성을
극대화하고 위험을 관리합니다. 미국 단기채는 채무불이행 리스크가 현저히 낮고, 만기가 짧아 금리 변화에 따른 가격 변동성이 적습니다. 미국 단기채는
주식과의 낮은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시장 하락 시 포트폴리오 변동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방어적인 역할을
해줄 것입니다.
아울러 ‘PLUS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 ETF는 환오픈형 상품으로 달러에 투자하는 효과도
함께 누릴 수 있습니다. 현재와 같이 미국 금리가 한국의 금리보다 높은 상황과 원화 약세 국면에서 환차익
효과를 기대할 수 있죠.
기준금리 인하 원하는 트럼프와 견고한 M7 실적…다시 봐야할 미국장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공개적으로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에게 기준금리를 낮출 것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준
이사회 공석에 스티브 마이런(Stephen Miran)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을 지명하면서 연준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죠.
스티브 마이런은 현재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의 근거가 되는 보고서를 작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만큼, 트럼프가 원하는 금리 인하에 찬성표를 던질 가능성이 높다는 외신의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기준금리가 인하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감안한다면, 다시 한 번 미국 시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나스닥100에 다수 포함된 성장주들의 주가에 유리한 환경이 만들어지는 만큼, 나스닥100 지수가 S&P500보다 더 좋은 성과를 낼 가능성도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미국 시장을 이끌고 있는 AI 소프트웨어 기업 팔란티어와
미국을 대표하는 빅테크 기업인 ‘M7(매그니피센트7)’의
실적 또한 웃어주고 있습니다.
팔란티어는 2025년
회계연도 2분기 매출 10억370만달러, 영업이익 2억6천931만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8%, 155.7% 늘어난 수치로, 가파른
상승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M7도 아직 2분기 실적이
발표되지 않은 엔비디아와 성장과정에서의 일부 부침이 있는 테슬라 정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호실적을 발표했는데요.
MS(마이크로소프트)는 2분기
실적에서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764억4,000만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하며 엔비디아에 이어 두 번째로 시가총액 4조
달러를 넘어선 기업이 됐습니다. 순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한
272억3,000만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 분야의 성장세가 돋보였는데, MS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애저(Azure)의 2025 회계연도(2024년 7월~2025년
6월) 매출이 750억
달러를 기록해 전년 대비 39% 증가했습니다.
애플 역시 전년 동기 대비 9.6% 늘어난 944억 4,000만
달러의 매출과 1.57달러의 주당순이익을 기록했고, 메타도
전년 대비 21.6% 증가한 475억 2,000만 달러의 매출과 7.14달러의 주당순이익을 보여주며 모두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습니다.
퇴직연금 계좌에서 미래 산업을 주도하는 기업들을 모은
‘나스닥100’에 최대한 많이 투자하면서도 위기 국면에서
손실을 줄여주는 역할까지 기대한다면? 미국 초단기 국채 투자를 통해 전세계 기축통화인 ‘달러’에도 내 자산을 배분하고 싶다면? ‘PLUS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
ETF에 투자해보세요!
[ETF
구성종목]
[주식] 나스닥100 (50%) |
[채권] 미국 초단기채 (50%) |
||
미국 기술주 상위 100개 기업 |
잔존만기 1-3개월 초단기 미국채 |
||
종목명 (TOP10) |
비중 |
종목명 (총 9종목) |
비중 |
엔비디아 |
5.0% |
U.S. T-Bills (B 10/23/25 Govt) |
5.6% |
마이크로소프트 |
4.6% |
U.S. T-Bills (B 10/16/25 Govt) |
5.6% |
애플 |
3.6% |
U.S. T-Bills (B 08/28/25 Govt) |
5.6% |
아마존 |
2.9% |
U.S. T-Bills (B 09/25/25 Govt) |
5.6% |
브로드컴 |
2.6% |
U.S. T-Bills (B 09/18/25 Govt) |
5.6% |
메타 |
1.9% |
U.S. T-Bills (B 09/11/25 Govt) |
5.6% |
넷플릭스 |
1.4% |
U.S. T-Bills (B 09/04/25 Govt) |
5.6% |
테슬라 |
1.3% |
U.S. T-Bills (B 10/02/25 Govt) |
5.6% |
알파벳(Class A) |
1.3% |
U.S. T-Bills (B 10/09/25 Govt) |
5.5% |
알파벳(Class C) |
1.2% |
* 자료 : Nasdaq-100 US T Bills 1-3 Month 50/50 Index, 2025.07.31 기준
[ETF
개요]
구분 |
내용 |
상품명칭 |
한화
PLUS 나스닥100미국채혼합50 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 |
집합투자업자 |
한화자산운용(주) |
종목코드 |
A0089B0 |
투자 분류 |
채권혼합 |
비교지수 |
Nasdaq-100
US T-Bills 1-3 Month 50/50 Index |
투자위험등급 |
4등급(보통
위험) |
리밸런싱 |
매일 |
총 보수 |
연 0.15%
(운용보수: 0.124%) |
상장일 |
2025년 08월 19일 |
· 한화 PLUS 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 (종목코드
: A0089B0)
· 투자위험등급 : 4등급 (보통
위험)
· 합성총보수(연) : 0.15%
(집합투자업자 보수 0.124%, 지정참가회사보수 0.001%,
신탁업자보수 0.015%,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 0.010%)
[ 투자 유의사항 ]
· 투자자는 집합투자증권에 대하여 금융상품판매업자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투자전 (간이)투자설명서
및 집합투자규약을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이 금융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자산가격 변동, 환율 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증권거래비용, 기타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한화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 2025-412호 (2025.08.12~2026.08.11)
검색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