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리포트
ETF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알려드립니다.
[PLUS 글로벌원자력밸류체인 ETF] 탈원전의 상징이었던 유럽의 피봇, 유럽은 탈’탈원전’ 중 : 에너지 패러다임의 전환
2025.05.27탈원전의 상징이었던 유럽의 피봇, 유럽은 탈’탈원전’ 중
: 에너지
패러다임의 전환
유럽은 한때 "탈원전"의 상징
1986년 체르노빌, 2011년 후쿠시마, 이 두 번의 원전 사고는 유럽에 깊은 트라우마를 남기면서 원자력 발전에 대한 신뢰는 빠르게 붕괴되었습니다. 특히, 독일과 벨기에는 ‘탈원전’을 국책으로 가장 강력하게 탈원전을 주장해온 국가였고, 유럽의 탈원전은 2010년대 내내 유럽 에너지 정책의 중심이었습니다. 그러나 2020년대 들어 분위기가 급변하였습니다. 러-우 전쟁으로 시작된 에너지 안보 위기, 그리고 인공지능과 데이터센터 확산에 따른 전력 수요 폭증은 ‘원자력 르네상스’라는 반전의 키워드를 불러오고 있습니다.
변화의 신호: ‘탈원전’을 뒤집는 유럽 각국의 결정들
최근 유럽은 탈원전 기조를 급격하게 바꾸어 탈-탈원전의 기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단순한 전력 수급의 이유를 넘어 AI데이터센터 대응 전력 확보, 에너지 안보 및 자립, EU 탄소중립 목표 달성 등 다양한 이유에서 원전과 SMR 재도입 및 사용을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핵심 배경: 유럽이 다시 원전으로 눈을 돌린 이유
1. 에너지
안보와 러시아 디커플링
아마 유럽이 원전 재도입의 움직임의 가장 큰 이유가 에너지 안보일겁니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산 가스 등 외부 에너지 의존의 위험성이 크게 부각되면서, 안정적이고 자립적인 에너지 공급원이 필요해졌기 때문입니다. 실제 유럽은 러-우 전쟁 이후 EU의 대러시아 제재로 인해 러시아가 보복성 천연가스 공급을 중단했는데, 이로 인해 전기료가 급등하였습니다. 독일의 경우 러-우 전쟁 이후 에너지 비용이 약 30% 이상 급증하면서 가정뿐 아니라 산업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러한 러시아의 에너지 무기화로 유럽은 러시아산 가스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구조적 개편에 들어가면서 원자력이 그 대안으로 급부상하였습니다.
2. AI·데이터센터
산업 확산으로 인한 전력 수요 폭증
두번째는 산업적 측면으로 AI 및 데이터센터
사용량 폭증입니다. 생성형AI와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전기차 확대는 전력 수요 구조가 완전하게 재편되는 요인입니다. 이에 따라 간헐성이 약점인 재생에너지만으로는 24시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원전의 전략적 가치가 다시금 주목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Chat GPT 같은 AI의 사용 활성화는 전력 수요를 급격하게 앞당기고
있는 상황인데요, 사진이나 동영상을 제작하면 전력 수요는 수십배 많게는 수백배까지 늘어날 전망입니다. ‘원전 없는 AI는 없다’라는
말도 나오고 있는 실상입니다.
3. 기후
변화와 탄소중립 압박
EU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Net-Zero)을 달성해야 하며, 태양광·풍력만으로는 기저 전력이 부족합니다. 유럽은 2022년 원자력과 천연가스를 일정 조건 하에 ‘지속가능한 투자’로 인정하는 EU 택소노미 규정으로 포함시켰습니다. 이에 따라 2023년 1월부터
원자력 발전이 ‘탄소중립 전환(transition)’을 위한
녹색 투자 대상으로 포함되어 탄소중립을 위한 기저전력으로 원전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2024년 EU 집행위원장인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은 “원자력은 수력에 이은
두 번째로 큰 저탄소 전력원이다. 기후 목표를 달성하려면 원전이 필요하다.”라고 언급할만큼 과거와 다르게 현재 유럽은 원전에 호의적인 상황입니다.
결론: 유럽의 "탈원전 시대"는 끝났다
유럽은 이념보다 현실을 택하기 위해 탈-탈원전으로 돌아오고 있습니다. 에너지 안보위기, 기술적/산업적 변화, 탄소중립의 압박이라는 세 가지 축은 유럽의 에너지 전략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으며, 원자력은 이 삼각축의 중심으로 돌아오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산업 회귀를 넘어 국가적 전략 포지셔닝이며 시대의 트렌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유럽의 탈-탈 원전과 함께 원자력 밸류체인에 투자하는 ETF,
PLUS 글로벌원자력밸류체인 ETF 구성종목
[ ETF 개요 ]
- 한화 PLUS 글로벌원자력밸류체인 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 (종목코드 : 0007G0)
- 투자위험등급 : 2등급 (높은 위험)
- 합성총보수(연) : 0.39% (집합투자업자 보수 0.339%, 판매회사보수 0.001%, 신탁업자보수 0.030%, 일반사무관리회사보수 0.020%)
[ 투자 유의사항 ]
- 투자자는 집합투자증권에 대하여 금융상품판매업자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투자전 (간이)투자설명서 및 집합투자규약을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이 금융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자산가격 변동, 환율 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증권거래비용, 기타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한화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 2025-287호 (2025.05.26~2026.05.25)
검색 키워드